인스타그램 알고리즘 변화: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전략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인스타그램 알고리즘 변화, 크리에이터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인스타그램은 최근 몇 년 동안 동영상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밀어주며 크리에이터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특히, 릴스(Reels) 기능을 중심으로 짧은 동영상 트렌드를 이끌어온 인스타그램은 이제 긴 동영상에도 보다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애덤 모세리(Adam Mosseri) 인스타그램 CEO는 최근 알고리즘의 작동 방식에 대한 추가 설명을 제공했습니다. 그동안 크리에이터들은 긴 동영상이 알고리즘에 불리한지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그러나 모세리는 긴 동영상이라 해서 불이익을 받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는데요.

인스타그램 알고리즘 변화와 주요 핵심 사항
1.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은 무엇을 기준으로 동영상을 평가할까?
인스타그램은 동영상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할 때 다음과 같은 주요 지표를 활용합니다.
1️⃣ 조회수(Views)
2️⃣ 시청 시간(Watched Time)
3️⃣ 완주율(Completion Rate)
4️⃣ 사용자 상호작용(Engagement, 좋아요, 댓글, 공유 등)
기존에는 짧은 동영상이 완주율이 높아 알고리즘에서 유리하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은 이제 시청 시간의 절대값과 상대적 비율을 함께 고려한다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1분짜리 동영상에서 10초를 시청한 경우와
10초짜리 동영상을 끝까지 시청한 경우,
알고리즘은 모두 "10초 시청"으로 평가합니다. 이는 긴 동영상이 불리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 길이에 대해 더욱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긴 동영상도 알고리즘에서 유리할까?
과거 크리에이터들은 짧은 영상이 더 많은 도달률(Reach)을 얻는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인스타그램은 이제 긴 동영상도 충분한 시청 시간을 확보할 경우, 짧은 영상과 동일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인스타그램은 릴스(Reels)의 길이를 3분까지 확장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이 보다 다양한 콘텐츠 형식을 실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즉, 긴 동영상이라도 사용자들이 끝까지 보거나, 중요한 순간까지 시청할 경우 충분한 도달률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 입니다.
3. 크리에이터들은 어떻게 콘텐츠 전략을 바꿔야 할까?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 변화에 따라 크리에이터들은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하면 더욱 효과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① 콘텐츠 길이에 대한 유연성 증가
- 짧은 영상이 아니어도 충분한 시청 시간을 확보하면 도달률을 유지할 수 있다
- 콘텐츠의 주제에 따라 최적의 길이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② 시청자 참여도를 높이는 전략 필요
- 단순 조회수보다는 시청 시간과 참여도(좋아요, 댓글, 공유)가 중요해진다.
- 시청자가 끝까지 볼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과 편집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③ 다양한 포맷 실험
- 인스타그램은 3분짜리 릴스를 도입했다. 이를 적극 활용하여 짧은 클립과 긴 동영상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 릴스, 스토리를 연계하여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제작하면 효과적이다.(인스타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 영역은 모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기능 = 알고리즘의 기본 요소)
④ 완주율과 절대적 시청 시간을 고려한 편집
- 긴 동영상이라도 중요한 장면을 초반에 배치하여 시청 유지율(Retention Rate)을 높여야 한다.
- 영상의 중간중간 핵심 포인트를 배치하여 이탈률을 줄여야 한다.
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적화
- 인스타그램의 "인사이트(Insights)" 기능을 활용해 시청 패턴과 이탈률을 분석해야 한다.
-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적의 콘텐츠 전략을 지속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의 전략은?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 변화는 크리에이터들에게 더 많은 콘텐츠 실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긴 동영상도 불이익을 받지 않으며, 완주율과 시청 시간을 기반으로 알고리즘이 평가하는데요. 즉, 크리에이터들은 주제에 맞는 최적의 영상 길이를 고민하면서, 완주율을 높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다양한 길이와 형식의 동영상을 실험하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전략을 찾아야 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잘 이해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는 크리에이터들은 앞으로 더 많은 도달률과 참여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
시사점 : 인스타그램의 변화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어떤 의미인가?
콘텐츠 제작에 있어 시간이 갈수록 자유로움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과 더불어 플랫폼 자체가 콘텐츠 소비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인데요.
짧은 영상만이 아니라, 긴 영상도 충분한 시청 시간이 확보되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제는 (과거의 유튜브 알고리즘에서도 중요시 하고 있는) 단순 조회수보다 시청 시간과 참여도가 중요해진 것이 명백해진 사실 입니다.
크리에이터들은 완주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적인 편집 기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즉,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최적화가 필수가 된 것입니다.
감에 의존하는 콘텐츠 제작이 아니라,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실험하고 최적화하는 전략이 중요해졌습니다. 이젠 모든 것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되어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죠.
그에 따라 크로스 플랫폼 전략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외에도 유튜브, 틱톡, 트위터 등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 변화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더 정교한 전략이 요구되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메타(Meta) 플랫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널들의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그에 맞춘 채널 운영과 콘텐츠 운영이 더욱 필요해진 시대가 된겁니다.
결국, 변화하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더 많은 성공을 안겨주지 않을까요?
▶︎ 보다 간략된 내용은 '트로이 인스타그램(@troe_team)'에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 --- ---
긴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변화하는 Tech-Generation 시대에 생성형 AI(Generative AI)를 기반으로 AI와 마케팅, 그리고 AGI의 시대에 AI윤리와 Responsible AI, 마케팅 플랫폼, 디지털 마케팅, 콘텐츠, 팀의 성장을 함께 논의 하면서 비즈니스 역량에 AI를 추가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싶으신 파트너가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찾아뵙고 성장 및 활용 범위를 함께 논의 가능합니다!
함께 스터디 하고, 미래 비전을 논의하고 싶은 관심있는 '일반 개인'의 연락 또한 좋습니다!
트로이, 대표 파트너 - 박충효 드림